-
무중단 운영 서버의 꿈, HomeLab을 벗어난 사치. (1) TOP NEW
처음 서버라고 불릴만한 기기들을 도입할 적에는 사양이 다르고 그 목적성이 조금씩 달라 파편화되고 다양했었으나, 2023년 7월 내/외부망을 전부 1GbE로 통일하게 되면서 1개 서버로 한정된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다양한 기능을 할 수 있게 하자는 발상을 하게 되었다. 그리하여 Proxmox VE라는 하이퍼바이저 OS를 도입하게 되었고, 그렇게 Ryzen 5600G, 32GB 램의 사양을 가진 Deskmini X300에서 Proxmox VE를 구동하게 되었다. 하지만 당시 무중단 운영보단 중앙집중적 구성에만 집중했던 사정으로 인해 서버 자체가 1개, 다시 말해 단일 노드라는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당연히... Read More
-
재실센서, 그런데 ESP32인. (1) TOP NEW
구입 계기 지난 2024년 4월 Home Assistant 서버에 물린 Zigbee 노드가 30개가 넘어감에 따라 기존에 쓰던 CC2531 Zigbee 동글을 지원 종료하고 Home Assistant가 공식 지원한다고 하는 Home Assistant Skyconnect(현재는 Home Assistant Connect ZBT-1이라는 이름으로 팔리나 보다.)로 새로 구성하였다. 구성에 관한 내용은 별도 서술했으니 해당 포스트 참조. 그때 해당 동글을 사는 사이트에서 mmWave 재실 센서를 같이 팔았는데, 상시 전원에 Zigbee가 아닌 WiFi로 연결되는 재실센서라서 구매해보았다. 원래는 WiFi 연결을 사용... Read More
-
이동형 서버 만둘기 TOP NEW
현재 구성한 서버는 고정된 Proxmox 가상화 서버 아래에 OMV와 Home Assistant Supervised, 그리고 필요에 따라 Ubuntu나 Windows VM을 돌릴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서버는 Deskmini X300을 기반으로 구성되었고, CPU와 저장장치의 제원은 아래와 같다. CPU: 5600G RAM: SODIMM LPDDR4 32GB SSD: NVME SSD1 - KIOXIA 1TB NVME SSD2 - SATA1 - SATA2 - 나스로 활용하는 서버이기 때문에 SSD를 증설할 계획이 있었으나 사용해보니 생각보다 용량을 잡아먹지 않았다.... Read More
-
서버 간 파일 주고 받기 TOP NEW
-
이동형 서버 만들기 TOP NEW
현재 구성한 서버는 고정된 Proxmox 가상화 서버 아래에 OMV와 Home Assistant Supervised, 그리고 필요에 따라 Ubuntu나 Windows VM을 돌릴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서버는 Deskmini X300을 기반으로 구성되었고, CPU와 저장장치의 제원은 아래와 같다. CPU: 5600G RAM: SODIMM LPDDR4 32GB SSD: NVME SSD1 - KIOXIA 1TB NVME SSD2 - SATA1 - SATA2 - 나스로 활용하는 서버이기 때문에 SSD를 증설할 계획이 있었으나 사용해보니 생각보다 용량을 잡아먹지 않았다.... Read More
-
Auxy List TOP NEW
-
Vi1024 Events TOP NEW
-
Development Timeline TOP NEW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Jun 13 RDP on CDN 구성 Nov 19 Windows 11 도입 Dec 14 - Dec 18 Windows on ARM 설치 on Lumia 950 2022 Apr 10 Mainliner 데스크탑 구성 Jun 14 Home Assistant Server 개설 Aug 10 회선 분기 프로젝트 1 (1번 망, 2번 망) Nov 16 CUPS 구성 on Ubuntu Laptop Dec 3 CUPS Docker 구성 on Debian Laptop Dec 24 CUPS Server 철수 2023 Jan 25 RDP 멀티모니터 Apr 13 - Jun... Read More
-
서버 간 파일 주고 받기 TOP NEW
-
Classification Rules TOP NEW
블로그 일련번호 부여는 다음의 형식을 따른다. SPCNNT S 주체 식별자 P 공개 식별자 C 내용 식별자 NN 순번 식별자 T 유형 식별자 주체 식별자 Subject Identifier는 작성 주체를 나타내는 식별자로, V, R, F의 문자로 구분한다. V는 본회선 관련(일반부서), R는 부회선 관련(부회선관제사, 본부종합사 학사과), F는 연방직할 관련(본부종합사 전산과)을 의미한다. 공개 식별자 Publicity Identifier는 공개 여부를 나타내는 식별자로, 0, 1의 숫자로 구분한다. 0은 비공개 문서, 1은 공개 문서를 의미한다. 내용 식별자 Content Identif... Read More
-
First Page TOP NEW
This is a first page of Nveloper’s Note. 이것은 Nveloper의 노트의 첫번째 테스트 페이지입니다. 次個垠 Nveloperノ ノトノ 一番之 テスト ペイヂヘ 跢。 GitHub Pages로 블로그를 만들고 나서 첫번째로 쓰는 테스트 글이다. 그와 동시에 이 글은 이 블로그의 첫번째 글이다. 원래는 블로그를 하나만 만들려고 했는데 작성하고 싶은 내용들의 결이 생각보다 괴리가 큰 것 같아서 일상이나 취미, 그리고 나에 대한 전반적인 것들을 정리한 것들을 이곳 첫번째 블로그에, 대학 과제에 관련된 글이나 실험 글 같은 것들을 두번째 블로그에 적어 볼 생각이다. 뭐 그래봐야 동일한... Read More